티스토리 뷰

목차



    레위기 5장|속죄와 속건에 관한 규례

    죄를 알면서도 침묵한 자의 죄

    1 만일 누구든지 저주하는 소리를 듣고서도 증인이 되어 그가 본 것이나 알고 있는 것을 알리지 아니하면 그는 자기의 죄를 져야 할 것이요 그 허물이 그에게로 돌아갈 것이며

    부정한 것과 접촉한 자의 죄

    2 만일 누구든지 부정한 것들 곧 부정한 들짐승의 사체나 부정한 가축의 사체나 부정한 곤충의 사체를 만졌으면 부지중이라고 할지라도 그 몸이 더러워져서 허물이 있을 것이요
    3 만일 부지중에 어떤 사람의 부정에 닿았는데 그 사람의 부정이 어떠한 부정이든지 그것을 깨달았을 때에는 허물이 있을 것이요

    맹세의 죄

    4 만일 누구든지 입술로 맹세하여 악한 일이든지 선한 일이든지 하리라고 함부로 말하면 그 사람이 함부로 말하여 맹세한 것이 무엇이든지 그가 깨닫지 못하다가 그것을 깨닫게 되었을 때에는 그 중 하나에 그에게 허물이 있을 것이니
    5 이 중 하나에 허물이 있을 때에는 아무 일에 잘못하였노라 자복하고

    속죄 제물에 대한 규례

    6 그 잘못으로 말미암아 여호와께 속죄제를 드리되 양 떼의 암컷 어린 양이나 염소를 끌어다가 속죄제를 드릴 것이요 제사장은 그의 허물을 위하여 속죄할지니라
    7 만일 그의 힘이 어린 양을 바치는 데에 미치지 못하면 그가 지은 죄를 속죄하기 위하여 산비둘기 두 마리나 집비둘기 새끼 두 마리를 여호와께로 가져가되 하나는 속죄제물을 삼고 하나는 번제물을 삼아
    8 제사장에게로 가져갈 것이요 제사장은 그 속죄제물을 먼저 드리되 그 머리를 목에서 비틀어 끊고 몸은 아주 쪼개지 말며
    9 그 속죄제물의 피를 제단 곁에 뿌리고 그 남은 피는 제단 밑에 흘릴지니 이는 속죄제요
    10 그 다음 것은 규례대로 번제를 드릴지니 제사장이 그의 잘못을 위하여 속죄한즉 그가 사함을 받으리라

    가난한 자를 위한 속죄 제물

    11 만일 그의 손이 산비둘기 두 마리나 집비둘기 두 마리에도 미치지 못하면 그의 범죄로 말미암아 고운 가루 십분의 일 에바를 예물로 가져다가 속죄제물로 드리되 이는 속죄제인즉 그 위에 기름을 붓지 말며 유향을 놓지 말고
    12 그것을 제사장에게로 가져갈 것이요 제사장은 그것을 기념물로 한 움큼을 가져다가 제단 위 여호와의 화제물 위에서 불사를지니 이는 속죄제라
    13 제사장이 그가 이 중에서 하나를 범하여 얻은 허물을 위하여 속죄한즉 그가 사함을 받으리라 그 나머지는 소제물 같이 제사장에게 돌릴지니라

    성물에 대한 속건죄

    14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말씀하여 이르시되
    15 누구든지 여호와의 성물에 대하여 부지중에 범죄하였으면 여호와께 속건제를 드리되 네가 지정한 가치를 따라 성소의 세겔로 몇 세겔 은에 상당한 흠 없는 숫양을 양 떼 중에서 끌어다가 속건제로 드려서
    16 성물에 대한 잘못을 보상하되 그것에 오분의 일을 더하여 제사장에게 줄 것이요 제사장은 그 속건제의 숫양으로 그를 위하여 속죄한즉 그가 사함을 받으리라

    하나님의 계명에 대한 속건죄

    17 만일 누구든지 여호와의 계명 중 하나를 부지중에 범하여도 허물이라 벌을 당할 것이니
    18 그는 네가 지정한 가치대로 양 떼 중 흠 없는 숫양을 속건제물로 제사장에게로 가져갈 것이요 제사장은 그가 부지중에 범죄한 허물을 위하여 속죄한즉 그가 사함을 받으리라
    19 이는 속건제니 그가 여호와 앞에 참으로 잘못을 저질렀음이니라


    📘 어려운 단어 해설

    • 속죄제: 죄를 씻기 위해 하나님께 드리는 제사. 죄 사함의 상징.
    • 속건제: 하나님이나 이웃에게 손해를 끼쳤을 때, 그 손해를 보상하고 드리는 제사.
    • 성물: 성막이나 제사와 관련된 하나님께 바쳐진 물건이나 재물.
    • 에바: 고운 가루나 곡물의 측량 단위. 1 에바는 약 22리터 정도.
    • 기념물: 제사에서 일부 떼어 불사르는 부분으로, 하나님께 올려드리는 부분.
    • 세겔: 성소에서 사용하는 은화 단위. 무게 기준의 화폐 단위.
    • 부지중: 알지 못한 채, 의도하지 않게 저지른 행동.
    • 사함: 죄를 용서받음. 하나님의 용서를 의미함.

    ✨ 본문 핵심 요약

    레위기 5장은 부지중에 범한 죄, 맹세의 죄, 부정한 접촉, 성물의 손상, 하나님의 계명 위반 등에 대한 속죄와 속건의 제사 규례를 다룬다.

    하나님은 죄를 지은 자가 자신의 죄를 깨닫고 회개할 때, 상황에 맞게 가축, 새, 곡식 등의 제물로 속죄할 수 있도록 배려하신다. 또한 가난한 자도 예물을 바칠 수 있도록 경제적 형편에 맞춘 제사 방식을 허락하신다.

    이 모든 규례의 중심에는 회개(자복)와 속죄(사함)라는 하나님의 자비와 정의가 함께 흐르고 있다. 죄에 대한 책임을 지되, 용서받을 길은 열려 있음을 본문은 강조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