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사무엘하 10장 본문읽기

    1   그 후에 암몬 자손의 왕이 죽고 그의 아들 하눈이 대신하여 왕이 되니
    2   다윗이 이르되 내가 나하스의 아들 하눈에게 은총을 베풀되 그의 아버지가 내게 은총을 베푼 것 같이 하리라 하고 다윗이 그의 신하들을 보내 그의 아버지를 조상하라 하니라 다윗의 신하들이 암몬 자손의 땅에 이르매
    3   암몬 자손의 관리들이 그들의 주 하눈에게 말하되 왕은 다윗이 조객을 당신에게 보낸 것이 왕의 아버지를 공경함인 줄로 여기시나이까 다윗이 그의 신하들을 당신에게 보내 이 성을 엿보고 탐지하여 함락시키고자 함이 아니니이까 하니


    4   이에 하눈이 다윗의 신하들을 잡아 그들의 수염 절반을 깎고 그들의 의복의 중동볼기까지 자르고 돌려보내매
    5   사람들이 이 일을 다윗에게 알리니라 그 사람들이 크게 부끄러워하므로 왕이 그들을 맞으러 보내 이르기를 너희는 수염이 자라기까지 여리고에서 머물다가 돌아오라 하니라
    6   암몬 자손들이 자기들이 다윗에게 미움이 된 줄 알고 암몬 자손들이 사람을 보내 벧르홉 아람 사람과 소바 아람 사람의 보병 이만 명과 마아가 왕과 그의 사람 천 명과 돕 사람 만 이천 명을 고용한지라


    7   다윗이 듣고 요압과 용사의 온 무리를 보내매
    8   암몬 자손은 나와서 성문 어귀에 진을 쳤고 소바와 르홉 아람 사람과 돕과 마아가 사람들은 따로 들에 있더라
    9   요압이 자기와 맞서 앞뒤에 친 적진을 보고 이스라엘의 선발한 자 중에서 또 엄선하여 아람 사람과 싸우려고 진 치고


    10   그 백성의 남은 자를 그 아우 아비새의 수하에 맡겨 암몬 자손과 싸우려고 진 치게 하고
    11   이르되 만일 아람 사람이 나보다 강하면 네가 나를 돕고 만일 암몬 자손이 너보다 강하면 내가 가서 너를 도우리라
    12   너는 담대하라 우리가 우리 백성과 우리 하나님의 성읍들을 위하여 담대히 하자 여호와께서 선히 여기시는 대로 행하시기를 원하노라 하고


    13   요압과 그와 함께 한 백성이 아람 사람을 대항하여 싸우려고 나아가니 그들이 그 앞에서 도망하고
    14   암몬 자손은 아람 사람이 도망함을 보고 그들도 아비새 앞에서 도망하여 성읍으로 들어간지라 요압이 암몬 자손을 떠나 예루살렘으로 돌아가니라
    15   아람 사람이 자기가 이스라엘 앞에서 패하였음을 보고 다 모이매


    16   하닷에셀이 사람을 보내 강 건너쪽에 있는 아람 사람을 불러 내매 그들이 헬람에 이르니 하닷에셀의 군사령관 소박이 그들을 거느린지라
    17   어떤 사람이 다윗에게 알리매 그가 온 이스라엘을 모으고 요단을 건너 헬람에 이르매 아람 사람들이 다윗을 향하여 진을 치고 더불어 싸우더니
    18   아람 사람이 이스라엘 앞에서 도망한지라 다윗이 아람 병거 칠백 대와 마병 사만 명을 죽이고 또 그 군사령관 소박을 치매 거기서 죽으니라


    19   하닷에셀에게 속한 왕들이 자기가 이스라엘 앞에서 패함을 보고 이스라엘과 화친하고 섬기니 그러므로 아람 사람들이 두려워하여 다시는 암몬 자손을 돕지 아니하니라


    사무엘하 10장 요약: 오해에서 비롯된 전쟁, 그리고 하나님께서 주신 승리

    사무엘하 10장은 다윗의 외교적 선의가 오해를 불러일으키고, 그것이 전쟁으로 번지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하지만 그 전쟁 속에서도 하나님은 자기 백성을 지키시고 승리를 주신다. 이 본문은 리더십, 오해, 동역, 그리고 하나님의 주권적 개입에 대한 중요한 교훈을 담고 있다.

     

    암몬 자손의 왕 나하스가 죽고, 그의 아들 하눈이 왕이 된다. 다윗은 과거 나하스가 자신에게 보여준 호의를 기억하며, 조의를 표하려는 진심 어린 마음으로 신하들을 보낸다. 그러나 암몬의 고관들은 다윗의 선의를 의심하며 하눈에게 조언한다. “그들이 정탐하고 성을 무너뜨리려는 목적이 있을 뿐이다.” 그 결과 하눈은 다윗의 신하들을 수치스럽게 모욕한다. 그들의 수염 절반을 깎고, 옷을 중동볼기까지 잘라 모욕적으로 돌려보낸다. 이는 단순한 외교 실패가 아니라, 공개적인 도전이며 모욕이었다.

     

    이 소식을 들은 다윗은 신하들의 명예를 지켜주기 위해 여리고에 머물게 한다. 한편, 암몬은 자신들이 다윗의 분노를 산 것을 자각하고, 아람 민족의 용병을 고용하여 전쟁 준비에 들어간다. 소바, 르홉, 마아가, 돕 등 여러 지역에서 모인 병력은 암몬의 뒤를 받치게 된다.

     

    이에 다윗은 요압과 용사들을 전장에 보낸다. 요압은 전술적으로 아람과 암몬 연합군 사이에 끼인 상황에서 병력을 나누어, 자신은 아람과 싸우고, 아우 아비새는 암몬과 싸우게 한다. 그들은 서로를 돕기로 약속하며, “우리는 하나님과 그의 성읍을 위해 담대히 싸우되, 여호와께서 선히 여기시는 대로 행하시기를 바란다”고 고백한다. 이 장면은 전쟁의 승패보다 하나님의 뜻을 우선시하는 믿음을 보여준다.

     

    요압의 군이 아람을 대적하자, 아람은 도망하고, 이를 본 암몬도 성읍으로 물러난다. 요압은 일단 전쟁을 마무리하고 예루살렘으로 돌아간다. 그러나 아람은 패배를 수습하고 다시 군대를 집결시킨다. 이번에는 하닷에셀이 중심이 되어, 군사령관 소박의 지휘 아래 헬람으로 진군한다.

     

    이 소식을 들은 다윗은 직접 전쟁을 지휘하기 위해 온 이스라엘을 이끌고 나선다. 요단을 건너 헬람에서 전투가 벌어지고, 이스라엘은 다시 압도적인 승리를 거둔다. 아람의 병거 700대, 기병 4만 명이 죽고, 군사령관 소박도 전사한다. 이후 하닷에셀에게 속한 모든 왕들이 항복하고 이스라엘에 복속되며, 아람은 더 이상 암몬을 돕지 않게 된다.

    이 전쟁의 시작은 외교적 오해에서 비롯되었지만, 전개와 결과는 하나님의 주권과 다윗의 신실한 리더십에 의해 다스려졌다. 요압과 아비새의 형제적 연합, 여호와의 뜻을 구하는 믿음, 다윗의 직접적인 대응은 하나님의 백성이 위기를 어떻게 이겨내는지를 보여준다.

    (송병민목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