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시편 2편 본문읽기

    1   어찌하여 이방 나라들이 분노하며 민족들이 헛된 일을 꾸미는가
    2   세상의 군왕들이 나서며 관원들이 서로 꾀하여 여호와와 그의 기름 부음 받은 자를 대적하며
    3   우리가 그들의 맨 것을 끊고 그의 결박을 벗어 버리자 하는도다


    4   하늘에 계신 이가 웃으심이여 주께서 그들을 비웃으시리로다
    5   그 때에 분을 발하며 진노하사 그들을 놀라게 하여 이르시기를
    6   내가 나의 왕을 내 거룩한 산 시온에 세웠다 하시리로다


    7   내가 여호와의 명령을 전하노라 여호와께서 내게 이르시되 너는 내 아들이라 오늘 내가 너를 낳았도다
    8   내게 구하라 내가 이방 나라를 네 유업으로 주리니 네 소유가 땅 끝까지 이르리로다
    9   네가 철장으로 그들을 깨뜨림이여 질그릇 같이 부수리라 하시도다


    10   그런즉 군왕들아 너희는 지혜를 얻으며 세상의 재판관들아 너희는 교훈을 받을지어다
    11   여호와를 경외함으로 섬기고 떨며 즐거워할지어다
    12   그의 아들에게 입맞추라 그렇지 아니하면 진노하심으로 너희가 길에서 망하리니 그의 진노가 급하심이라 여호와께 피하는 모든 사람은 다 복이 있도다


    본문 정리

    서론: 누가 왕인가?

    시편 2편은 통치에 관한 시편이다. 역사는 반복적으로 인간의 통치를 강화하려 하지만, 시편 2편은 명확하게 선언한다. 하나님이 왕이시며, 그분은 자기 아들을 통하여 온 세상을 다스리신다. 세상 권세가 아무리 거세게 반역해도, 결국 그들은 하나님의 기름 부음을 받은 자 앞에 무릎 꿇게 된다.


    1. 세상의 권세는 하나님의 통치를 거부한다 (1–3절)

    이방 나라들과 민족들이 분노하며 모의한다. 그들의 중심에는 하나님을 대적하려는 의지가 있다. 단순한 정치적 동맹이 아니라, 하나님과 그분의 기름 부음을 받은 자, 곧 메시아에 대한 도전이다.

     

    “우리가 그들의 맨 것을 끊고, 결박을 벗자”는 말은 자유를 외치는 세상의 자기중심적 외침이다. 그러나 이것은 참 자유가 아니라 하나님을 떠난 방종이다. 인간의 반역은 언제나 자유를 약속하지만, 결과는 파멸뿐이다.


    2. 하나님은 하늘에서 웃으신다 (4–6절)

    세상의 교만한 소란에 대해 하나님은 웃으신다. 단순한 조롱이 아니라, 그들의 무력함과 어리석음을 드러내는 거룩한 비웃음이다. 인간은 역사 속에서 스스로를 신처럼 세우려 하지만, 하나님은 한 마디로 그들을 무너뜨리신다.

     

    하나님은 선언하신다. “내가 나의 왕을 시온에 세웠다.” 이 왕은 인간이 뽑은 왕이 아니라, 하나님이 세우신 왕이다. 그분의 통치는 하늘로부터 주어진 것이다. 따라서 이 통치는 누구도 뒤흔들 수 없다.


    3. 하나님은 자기 아들을 통하여 다스리신다 (7–9절)

    “너는 내 아들이라 오늘 내가 너를 낳았도다.” 이 말씀은 단지 다윗에게만 주어진 것이 아니다. 예수 그리스도께 궁극적으로 성취된 말씀이다. 하나님은 아들을 통하여 세상을 다스리신다.

     

    그 아들에게 하나님은 온 열방을 유업으로 주셨다. 철장으로 깨뜨리고 질그릇처럼 부순다는 표현은 하나님의 통치가 죄에 대해 얼마나 단호한지를 보여준다. 예수는 온유하신 구주이시지만, 동시에 심판하시는 왕이시다.


    4. 지금이 순종할 때다: 아들에게 입맞추라 (10–12절)

    이제 왕들과 재판관들에게 경고가 주어진다. 지혜를 얻고 교훈을 받을 때이다. 하나님은 지금도 기회를 주신다. 하지만 시간이 영원히 주어지진 않는다.

     

    “그의 아들에게 입맞추라.” 이것은 복종과 충성의 상징이다. 왕 앞에 입을 맞추는 행위는 경배의 표현이었다. 예수 그리스도 앞에 무릎 꿇고 입맞추는 것—그것이 회개이며 믿음이다. “여호와께 피하는 자는 다 복이 있도다.” 결국 구원의 길은 하나다. 하나님 아들의 통치 아래 들어가는 것이다. 그를 대적하면 멸망이요, 그에게 피하면 복이다.

    (송병민목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