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본문읽기

    1   여호와여 나와 다투는 자와 다투시고 나와 싸우는 자와 싸우소서
    2   방패와 손 방패를 잡으시고 일어나 나를 도우소서
    3   창을 빼사 나를 쫓는 자의 길을 막으시고 또 내 영혼에게 나는 네 구원이라 이르소서
    4   내 생명을 찾는 자들이 부끄러워 수치를 당하게 하시며 나를 상해하려 하는 자들이 물러가 낭패를 당하게 하소서
    5   그들을 바람 앞에 겨와 같게 하시고 여호와의 천사가 그들을 몰아내게 하소서


    6   그들의 길을 어둡고 미끄럽게 하시며 여호와의 천사가 그들을 뒤쫓게 하소서
    7   그들이 까닭 없이 나를 잡으려고 그들의 그물을 웅덩이에 숨기며 까닭 없이 내 생명을 해하려고 함정을 팠사오니
    8   멸망이 순식간에 그에게 닥치게 하시며 그가 숨긴 그물에 자기가 잡히게 하시며 멸망 중에 떨어지게 하소서
    9   내 영혼이 여호와를 즐거워함이여 그의 구원을 기뻐하리로다
    10   내 모든 뼈가 이르기를 여호와와 같은 이가 누구냐 그는 가난한 자를 그보다 강한 자에게서 건지시고 가난하고 궁핍한 자를 노략하는 자에게서 건지시는 이라 하리로다


    11   불의한 증인들이 일어나서 내가 알지 못하는 일로 내게 질문하며
    12   내게 선을 악으로 갚아 나의 영혼을 외롭게 하나
    13   나는 그들이 병 들었을 때에 굵은 베 옷을 입으며 금식하여 내 영혼을 괴롭게 하였더니 내 기도가 내 품으로 돌아왔도다
    14   내가 나의 친구와 형제에게 행함 같이 그들에게 행하였으며 내가 몸을 굽히고 슬퍼하기를 어머니를 곡함 같이 하였도다
    15   그러나 내가 넘어지매 그들이 기뻐하여 서로 모임이여 불량배가 내가 알지 못하는 중에 모여서 나를 치며 찢기를 마지아니하도다


    16   그들은 연회에서 망령되이 조롱하는 자 같이 나를 향하여 그들의 이를 갈도다
    17   주여 어느 때까지 관망하시려 하나이까 내 영혼을 저 멸망자에게서 구원하시며 내 유일한 것을 사자들에게서 건지소서
    18   내가 대회 중에서 주께 감사하며 많은 백성 중에서 주를 찬송하리이다
    19   부당하게 나의 원수된 자가 나로 말미암아 기뻐하지 못하게 하시며 까닭 없이 나를 미워하는 자들이 서로 눈짓하지 못하게 하소서
    20   무릇 그들은 화평을 말하지 아니하고 오히려 평안히 땅에 사는 자들을 거짓말로 모략하며


    21   또 그들이 나를 향하여 입을 크게 벌리고 하하 우리가 목격하였다 하나이다
    22   여호와여 주께서 이를 보셨사오니 잠잠하지 마옵소서 주여 나를 멀리하지 마옵소서
    23   나의 하나님, 나의 주여 떨치고 깨셔서 나를 공판하시며 나의 송사를 다스리소서
    24   여호와 나의 하나님이여 주의 공의대로 나를 판단하사 그들이 나로 말미암아 기뻐하지 못하게 하소서
    25   그들이 마음속으로 이르기를 아하 소원을 성취하였다 하지 못하게 하시며 우리가 그를 삼켰다 말하지 못하게 하소서


    26   나의 재난을 기뻐하는 자들이 함께 부끄러워 낭패를 당하게 하시며 나를 향하여 스스로 뽐내는 자들이 수치와 욕을 당하게 하소서
    27   나의 의를 즐거워하는 자들이 기꺼이 노래 부르고 즐거워하게 하시며 그의 종의 평안함을 기뻐하시는 여호와는 위대하시다 하는 말을 그들이 항상 말하게 하소서
    28   나의 혀가 주의 의를 말하며 종일토록 주를 찬송하리이다


    1. 본문 요약 및 정리

    시편 35편은 다윗이 당한 부당한 대적과 음모 앞에서 하나님께 자신을 돕고 구원해 달라고 간구하는 시입니다.
    악인들의 모략과 공격, 배신과 조롱 가운데, 다윗은 하나님께 자신의 정당성, 간구, 확신을 함께 노래합니다.


    1) 구원 간구와 대적의 심판 요청 (1–8절)

    1–2절:
    “여호와여, 나와 다투는 자와 다투시고 / 나와 싸우는 자와 싸우소서. / 방패와 손 방패를 잡으시고 일어나 나를 도우소서.”
    → 다윗은 직접적으로 하나님께 자신을 대적하는 자들과 다투어 달라고 요청합니다. 하나님이 방패가 되어 도우시기를 구함입니다.

    3절:
    “창을 빼사 나를 쫓는 자의 길을 막으시고 / 또 내 영혼에게 ‘나는 네 구원이라’ 이르소서.”
    → 대적의 공격 길을 봉쇄해 주시고, 다윗의 영혼에게 하나님이 그의 구원자이심을 확언해 주시길 바랍니다.

    4–5절:
    “내 생명을 찾는 자들이 부끄럽고 수치를 당하게 하시며 / 나를 상해하려 하는 자들이 물러가 낭패를 당하게 하소서.
    그들을 바람 앞의 겨와 같이 하시고 / 여호와의 천사가 그들을 몰아내게 하소서.”
    → 적들이 허망하게 무너지고, 하나님의 천사를 통해 몰아내 달라는 요청이 이어집니다.

    6–8절:
    “그들의 길을 어둡고 미끄럽게 하시며 / 여호와의 천사가 그들을 뒤쫓게 하소서.
    그들이 까닭 없이 나를 잡으려 그들의 그물을 웅덩이에 숨기며 / 까닭 없이 내 생명을 해하려 함정을 팠사오니,
    멸망이 순식간에 그에게 닥치게 하시며 / 그가 숨긴 그물에 자기가 잡히게 하시며 / 멸망 중에 떨어지게 하소서.”
    → 모략과 함정의 길을 하나님이 뒤바꾸시고, 도리어 그들이 자신이 만든 함정에 빠지게 해 달라고 청합니다.


    2) 감사 고백과 찬양 (9–10절)

    9절:
    “내 영혼이 여호와를 즐거워함이여 / 그의 구원을 기뻐하리로다.”
    → 비록 대적이 많지만, 다윗은 하나님께서 자신을 구원하신 일을 기뻐하겠다고 고백합니다.

    10절:
    “내 모든 뼈가 이르기를 ‘여호와와 같은 이가 누구냐’ / 그는 가난한 자를 그보다 강한 자에게서 건지시고 / 가난하고 궁핍한 자를 노략하는 자에게서 건지시는 이라 하리로다.”
    → 다윗은 모든 존재(뼈까지)를 동원해 하나님을 높이며, 하나님이 약한 자를 보호하시는 분이라는 신앙 고백을 노래합니다.


    3) 대적의 모략과 배신 묘사 (11–17절)

    11–12절:
    “불의한 증인들이 일어나 / 내가 알지 못하는 일로 내게 질문하며 / 내게 선을 악으로 갚아 내 영혼을 외롭게 하나
    → 다윗은 자신을 향한 거짓 고발과 배신을 묘사합니다.

    13–15절:
    “나는 그들이 병 들었을 때 굵은 베 옷을 입으며 / 금식하여 내 영혼을 괴롭게 하였더니 / 내 기도가 내 품으로 돌아왔도다.
    나는 그들이 친구와 형제에게 행함 같이 / 그들에게 행하였으며 / 내가 몸을 굽히고 슬퍼하기를 / 어머니를 곡함 같이 하였도다.
    그러나 내가 넘어지매 그들은 기뻐하여 서로 모임이여 / 불량배가 내가 알지 못하는 중에 모여서 / 나를 치며 찢기를 마지아니하도다.”
    → 그들을 향한 다윗의 헌신과 애정, 희생에도 불구하고 배신당하고 짓밟힘을 묘사합니다.

    16–17절:
    “그들은 연회 중에서 망령되이 조롱하는 자 같이 / 나를 향하여 그들의 이를 갈도다.
    주여 어느 때까지 관망하시려 하나이까 / 내 영혼을 저 멸망자에게서 구원하시며 / 내 유일한 것을 사자들에게서 건지소서.”
    → 조롱과 이갈음이 다윗을 향해 계속되는 가운데, 그는 하나님께 간구합니다.


    4) 공의 호소, 재난 회복, 찬양 다짐 (18–28절)

    18–20절:
    “내가 대회 중에서 주께 감사하며 / 많은 백성 중에서 주를 찬송하리이다.
    부당하게 나의 원수된 자가 / 나로 말미암아 기뻐하지 못하게 하시며 / 까닭 없이 나를 미워하는 자들이 / 서로 눈짓하지 못하게 하소서.
    무릇 그들은 화평을 말하지 아니하고 / 오히려 평안히 땅에 사는 자들을 / 거짓말로 모략하며.”
    → 공개적으로 하나님 앞에서 감사와 찬송을 드릴 것이며, 적들이 내세우는 거짓말의 힘을 꺾어달라는 호소입니다.

    21–24절:
    “그들이 나를 향하여 입을 크게 벌리고 / ‘하하 우리가 목격하였다’ 하나이다.
    여호와여 주께서 이를 보셨사오니 잠잠하지 마옵소서 / 주여 나를 멀리하지 마옵소서.
    나의 하나님, 나의 주여 떨치고 깨셔서 나를 공판하시며 / 나의 송사를 다스리소서.
    여호와 나의 하나님이여 / 주의 공의대로 나를 판단하사 / 그들이 나로 말미암아 기뻐하지 못하게 하소서.”
    → 다윗은 하나님께 증인이 되어 주고 공평하게 판단해 달라고 간구합니다.

    25–28절:
    “그들이 마음속으로 이르기를 ‘아하, 소원을 성취하였다’ 하지 못하게 하시며 / ‘우리가 그를 삼켰다’ 말하지 못하게 하소서.
    나의 재난을 기뻐하는 자들이 함께 부끄러워 낭패를 당하게 하시며 / 나를 향하여 스스로 뽐내는 자들이 수치와 욕을 당하게 하소서.
    나의 의를 즐거워하는 자들이 기꺼이 노래 부르고 즐거워하게 하시며 / 그의 종의 평안함을 기뻐하시는 여호와는 위대하시다 하는 말을 / 그들이 항상 말하게 하소서.
    나의 혀가 주의 의를 말하며 / 종일토록 주를 찬송하리이다.”
    → 다윗은 자신의 정의가 드러나고, 하나님의 공의가 살아나는 날을 소망하며, 찬송의 소망을 다짐합니다.


    2. 본문 중심 깊은 묵상

    (A) 부당함 앞에 드리는 정직한 탄원

    다윗은 자신이 겪는 부당한 공격, 음모, 배신 등을 숨기지 않고 하나님 앞에 정직하게 내놓습니다.
    그는 겁 없이 하나님께 자신의 억울함을 호소하는 자입니다.
    종종 우리는 “믿음 있는 척”하려다가 고난이나 부당함 앞에서 침묵하거나 감춘 채 넘어가려 할 때가 많습니다.
    그러나 하나님 앞에서는 감추지 않아도 됩니다. 우리의 억울함, 상처, 분노, 슬픔을 정직히 가져가는 것이 하나님 앞에서의 진정한 기도입니다.

    (B) 구원과 보호의 하나님에 대한 고백

    1–8절에서는 다윗이 하나님을 자신의 전적 보호자로 고백하고 구원의 손길을 요청합니다.
    “내 영혼에게 ‘나는 네 구원이라’ 이르소서” (3절)의 요청은 단지 외적 구원을 넘어서, 내면의 영혼이 굳건히 하나님을 신뢰하게 해 달라는 간구입니다.

    뿐만 아니라, 하나님을 “방패와 손 방패”로 묘사한 것은 전쟁의 상황 속에서 하나님이 다윗의 전면 방어가 되심을 표현한 이미지입니다.

    (C) 배신과 음모의 고통 속에서도 신앙의 중심 잡기

    11–17절은 다윗이 겪은 배신과 모략의 구체적 모습입니다.
    친구와 형제들에게서 상처받고, 뜻하지 않은 거짓 증언에 휘말리고, 조롱당하고 이가 갈리는 고통 앞에서도, 다윗은 자신의 고백과 기대를 하나님께로 향합니다.

    그의 내면에는 이렇게 고백하는 중앙 기둥이 있습니다:

    • 하나님, 어느 때까지 기다리시렵니까?
    • 제 영혼을 멸망자에게서 구원해 주소서.
    • 나의 유일한 것을 사자들로부터 건지소서.

    이 고백은 “내 힘으로는 안 되지만, 하나님이라면 가능하다”는 믿음의 중심이 깔려 있음을 보여 줍니다.

    (D) 공의의 하나님, 판단하시는 하나님

    18–24절은 다윗이 하나님 앞에서 공의 재판을 구하는 장면입니다.
    그는 하나님께 “공의대로 판단하소서”, “내 송사를 다스리소서”라 청합니다.
    하나님은 단순히 연민이나 자비만의 하나님이 아니며, 공의까지 겸비하신 분이십니다.
    하나님에게 우리의 사건을 맡기며 기다리는 것은, 공의의 하나님을 신뢰하는 자세입니다.

    (E) 정의와 찬양의 회복

    25–28절은 다윗의 회복과 찬양의 다짐이 담긴 부분입니다.

    • 적들이 기뻐하지 못하게 하시고
    • 나의 의를 즐거워하는 사람들이 찬양하며
    • 혀가 하나님 의를 말하고 종일토록 주를 찬송하리라

    이 부분은 단지 복수를 구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정의를 세우시고 그 정의 위에 찬양이 회복되기를 바라는 기대입니다.


    3. 현대인에게 주는 복음적 적용

    적용 1: 고난과 부당함 앞에서 침묵하지 말고 하나님께 토로하라

    우리는 때로 억울함과 상처를 감추며, “믿음 있는 척” 하려 할 때가 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 앞에서는 모든 것을 정직히 내려놓아야 합니다.

    • 내 마음의 억울함, 상처, 분노를 하나님께 드리는 기도를 연습하라.
    • 감정 자체를 죄라고 치부하지 말고 하나님께 허락하라.
    • 하나님은 우리의 탄원을 외면하지 않으시며, 우리가 절망하지 않게 도우시는 분이십니다.

    적용 2: 하나님을 나의 전적 구원자, 방패로 고백하라

    다윗이 하나님을 “방패와 손 방패”로 묘사한 것처럼, 우리는 삶의 전쟁터 가운데서도 하나님께 나의 전적 보호와 구원을 맡길 수 있습니다.

    • 매일 아침 하나님을 나의 방패로 선언하는 기도를 드려라.
    • 위협이나 공격이 닥칠 때, 내 힘이 아닌 하나님만 바라보는 영적 반응을 연습하라.
    • 내 영혼에게 “하나님이 나의 구원이시다”라는 진리를 반복해 가르치라.

    적용 3: 배신과 모략 가운데도 찬양을 놓치지 말라

    배신이나 음모는 인간관계의 최악의 상처를 남깁니다.
    그럼에도 다윗은 찬양과 기대를 하나님께 향합니다.

    • 상처를 기억만 하지 말고 하나님께 고백하며 치유의 길로 나아가라.
    • 조롱이나 비난이 일어날 때에도, 하나님을 향한 믿음의 고백을 잃지 말라.
    • 상처 입은 마음 속에서도 하나님께 감사할 수 있는 작은 고백을 찾아내어 그것을 붙드는 연습을 하라.

    적용 4: 하나님께 재판과 공의를 맡기기

    우리는 때로 부당한 상황 앞에서 복수나 반응을 스스로 내고 싶어 합니다.
    하지만 다윗은 하나님께 공의 재판을 맡기며 기다립니다.

    • 인간의 판단과 반응보다 하나님의 공의를 신뢰하라.
    • 내 상황을 하나님께 맡기고, 그의 타이밍과 방법에 기대하라.
    • 마음 속 불공평한 감정이 일어날 때, 그것을 하나님께 재판 요청의 기도로 바꾸라.

    적용 5: 정의 회복과 찬양의 회복을 기대하라

    시편 35편은 단순히 복수를 구하지 않습니다.
    다윗은 자신의 의가 인정되고, 하나님의 공의가 드러나며, 찬양이 회복되는 날을 소망합니다.

    • 내가 당한 부당함이 정의로 회복되는 날을 기대하며 기도하라.
    • 미래를 향한 찬양의 소망을 마음에 새기라.
    • 나의 혀와 삶이 하나님의 의와 공의를 증거하게 하라.

    복음적 중심 재해석

    시편 35편은 우리에게 복음의 메시지를 더 깊이 펼칠 수 있는 틀이기도 합니다.

    • 우리가 당하는 억울함과 죄의 공격 앞에서, 예수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대신 싸우신 분이십니다.
    • 예수님은 우리의 방패시며, 우리의 구원자이신 동시에 우리를 대적하는 영적 세력들을 대적하신 분이십니다.
    • 우리가 배신당하고 조롱당할 때도, 예수님은 우리를 버리지 않으셨고, 오히려 십자가에서 그 고통을 다 져 주셨습니다.
    • 우리가 스스로 공의를 세우려는 유혹이 있을 때, 예수님은 하나님 앞에서 우리의 죄를 재판받고 정결을 이루신 분이십니다.
    • 결국 우리의 회복, 정의, 찬양은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 위에서 이루어집니다. 우리가 시편 35편의 고백을 붙들 때, 예수님 안에서 그 고백은 더 확실한 확신과 평안이 됩니다.

    4. 마무리 기도와 권면

    이 시간, 시편 35편이 우리에게 던지는 기도와 고백을 나누고자 합니다.

    “하나님,
    내가 당한 부당함과 고통을 숨기지 않고 주 앞에 가져갑니다.
    나를 대적하는 자와 다투어 주시고, 그들의 공격을 막아 주소서.
    내 영혼 속에 ‘주님은 나의 구원’이라는 진리가 확립되게 하소서.
    배신과 조롱 앞에서도 주를 향한 찬양과 믿음이 흔들리지 않게 하소서.
    나를 공의대로 판단하시는 하나님, 나의 송사를 맡기오니
    주의 공의가 드러나게 하시고, 나의 의가 회복되게 하소서.
    그리고 나의 삶 전체를 통해 주의 의와 공의를 증거하는 자 되게 하소서.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

    당신이 지금 겪는 상처, 배신, 억울함이 있다면, 이 시편의 고백을 기억하시길 바랍니다.
    하나님은 당신의 영혼을 외면하지 않으시며, 당신의 부르짖음을 들으시는 분이십니다.
    그리고 정의와 회복과 찬양의 날을 위해 일하고 계십니다.

    (송병민목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