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역대하 10장 본문읽기

    1   르호보암이 세겜으로 갔으니 이는 온 이스라엘이 그를 왕으로 삼고자 하여 세겜에 이르렀음이더라
    2   느밧의 아들 여로보암이 전에 솔로몬 왕의 낯을 피하여 애굽으로 도망하여 있었더니 이 일을 듣고 여로보암이 애굽에서부터 돌아오매
    3   무리가 사람을 보내어 그를 불렀더라 여로보암과 온 이스라엘이 와서 르호보암에게 말하여 이르되


    4   왕의 아버지께서 우리의 멍에를 무겁게 하였으나 왕은 이제 왕의 아버지께서 우리에게 시킨 고역과 메운 무거운 멍에를 가볍게 하소서 그리하시면 우리가 왕을 섬기겠나이다
    5   르호보암이 그들에게 대답하되 삼 일 후에 다시 내게로 오라 하매 백성이 가니라
    6   르호보암 왕이 그의 아버지 솔로몬의 생전에 그 앞에 모셨던 원로들과 의논하여 이르되 너희는 이 백성에게 어떻게 대답하도록 권고하겠느냐 하니


    7   그들이 대답하여 이르되 왕이 만일 이 백성을 후대하여 기쁘게 하고 선한 말을 하시면 그들이 영원히 왕의 종이 되리이다 하나
    8   왕은 원로들이 가르치는 것을 버리고 그 앞에 모시고 있는 자기와 함께 자라난 젊은 신하들과 의논하여
    9   이르되 너희는 이 백성에게 어떻게 대답하도록 권고하겠느냐 백성이 내게 말하기를 왕의 아버지께서 우리에게 메운 멍에를 가볍게 하라 하였느니라 하니


    10   함께 자라난 젊은 신하들이 왕께 말하여 이르되 이 백성들이 왕께 아뢰기를 왕의 아버지께서 우리의 멍에를 무겁게 하였으나 왕은 우리를 위하여 가볍게 하라 하였은즉 왕은 대답하시기를 내 새끼 손가락이 내 아버지의 허리보다 굵으니
    11   내 아버지가 너희에게 무거운 멍에를 메게 하였으나 이제 나는 너희의 멍에를 더욱 무겁게 할지라 내 아버지는 가죽 채찍으로 너희를 치셨으나 나는 전갈 채찍으로 하리라 하소서 하더라
    12   삼 일 만에 여로보암과 모든 백성이 르호보암에게 나왔으니 이는 왕이 명령하여 이르기를 삼 일 만에 내게로 다시 오라 하였음이라


    13   왕이 포학한 말로 대답할새 르호보암이 원로들의 가르침을 버리고
    14   젊은 신하들의 가르침을 따라 그들에게 말하여 이르되 내 아버지는 너희의 멍에를 무겁게 하였으나 나는 더 무겁게 할지라 내 아버지는 가죽 채찍으로 너희를 치셨으나 나는 전갈 채찍으로 치리라 하니라
    15   왕이 이같이 백성의 말을 듣지 아니하였으니 이 일은 하나님께로 말미암아 난 것이라 여호와께서 전에 실로 사람 아히야로 하여금 느밧의 아들 여로보암에게 이르신 말씀을 응하게 하심이더라


    16   온 이스라엘은 왕이 자기들의 말을 듣지 아니함을 보고 왕에게 대답하여 이르되 우리가 다윗과 무슨 관계가 있느냐 이새의 아들에게서 받을 유산이 없도다 이스라엘아 각각 너희의 장막으로 돌아가라 다윗이여 이제 너는 네 집이나 돌보라 하고 온 이스라엘이 그들의 장막으로 돌아가니라
    17   그러나 유다 성읍들에 사는 이스라엘 자손들에게는 르호보암이 그들의 왕이 되었더라
    18   르호보암 왕이 역군의 감독 하도람을 보냈더니 이스라엘 자손이 저를 돌로 쳐 죽인지라 르호보암 왕이 급히 수레에 올라 예루살렘으로 도망하였더라


    19   이에 이스라엘이 다윗의 집을 배반하여 오늘날까지 이르니라


    역대하 10장 요약 – 분열의 시작, 백성의 요청을 거절한 왕

    솔로몬의 뒤를 이은 르호보암은 왕으로 즉위하기 위해 세겜으로 올라갔다. 온 이스라엘이 그를 왕으로 세우고자 그곳에 모였다. 이때 예전 솔로몬의 통치 아래 있던 고역과 무거운 멍에에 대한 불만이 터져 나왔다. 이미 애굽으로 도망해 있던 여로보암이 돌아와 백성의 대표로 나사서, 솔로몬이 과하게 부과한 고역을 덜어달라고 요청했다. 백성은 그 멍에가 너무 무거웠다고 느꼈고, 만약 르호보암이 이를 가볍게 해 준다면 기꺼이 그를 섬기겠다고 말했다.

     

    르호보암은 즉답을 피하고, 사흘 후 다시 오라고 말한다. 그는 먼저 아버지 시대의 원로들과 의논했다. 원로들은 백성을 온유하게 대하고 선한 말을 하면 그들이 영원히 충성할 것이라 조언했다. 하지만 르호보암은 그 충고를 무시하고, 오히려 자신과 함께 자라난 젊은 신하들의 조언을 따랐다. 그들은 오히려 강경하게 나갈 것을 권하며, “내 새끼 손가락이 내 아버지의 허리보다 굵다”는 오만한 언사와 함께 멍에를 더 무겁게 하고, 채찍이 아닌 전갈채찍으로 다스리겠다고 선언하라고 부추겼다.

     

    사흘 뒤, 여로보암과 백성이 다시 찾아왔고, 르호보암은 젊은 신하들의 조언대로 거칠고 폭력적인 언어로 대답했다. 결국 백성은 크게 실망하며, 다윗 왕가와의 관계를 끊겠다고 선언한다. “우리가 다윗과 무슨 상관이 있느냐! 이새의 아들에게서 받을 유산이 없다.” 그들은 각자의 장막으로 돌아갔고, 북쪽 지파들은 독자적인 길을 선택했다. 이것은 여호와께서 이미 아히야 선지자를 통해 여로보암에게 주신 예언을 이루기 위한 하나님의 주권적인 섭리였다.

     

    유다에 거주하는 이스라엘 자손만이 르호보암을 여전히 왕으로 섬겼다. 그러나 르호보암은 무리하게 역군 감독 하도람을 보냈고, 격분한 백성은 그를 돌로 쳐 죽였다. 놀란 르호보암은 급히 수레를 타고 예루살렘으로 도망쳤다. 그리하여 이스라엘은 다윗의 집을 배반하고, 이 분열은 오늘날까지도 이어지게 되었다.

     

    하나님의 뜻을 거스른 완고한 리더십은 공동체를 분열로 이끌 수 있다. 반대로 겸손과 온유로 섬기면 하나됨을 지킬 수 있다. 르호보암의 어리석음은 단지 개인의 실패가 아니라 민족의 역사 전체에 깊은 상처를 남긴 선택이었다.

    (송병민목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