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역대하 8장 본문읽기
    1   솔로몬이 여호와의 전과 자기의 궁궐을 이십 년 동안에 건축하기를 마치고
    2   후람이 솔로몬에게 되돌려 준 성읍들을 솔로몬이 건축하여 이스라엘 자손에게 거기에 거주하게 하니라
    3   솔로몬이 가서 하맛소바를 쳐서 점령하고


    4   또 광야에서 다드몰을 건축하고 하맛에서 모든 국고성들을 건축하고
    5   또 윗 벧호론과 아랫 벧호론을 건축하되 성벽과 문과 문빗장이 있게 하여 견고한 성읍으로 만들고
    6   또 바알랏과 자기에게 있는 모든 국고성들과 모든 병거성들과 마병의 성들을 건축하고 솔로몬이 또 예루살렘과 레바논과 그가 다스리는 온 땅에 건축하고자 하던 것을 다 건축하니라


    7   이스라엘이 아닌 헷 족속과 아모리 족속과 브리스 족속과 히위 족속과 여부스 족속의 남아 있는 모든 자
    8   곧 이스라엘 자손이 다 멸하지 않았으므로 그 땅에 남아 있는 그들의 자손들을 솔로몬이 역군으로 삼아 오늘에 이르렀으되
    9   오직 이스라엘 자손은 솔로몬이 노예로 삼아 일을 시키지 아니하였으니 그들은 군사와 지휘관의 우두머리들과 그의 병거와 마병의 지휘관들이 됨이라


    10   솔로몬 왕의 공장을 감독하는 자들이 이백오십 명이라 그들이 백성을 다스렸더라
    11   솔로몬이 바로의 딸을 데리고 다윗 성에서부터 그를 위하여 건축한 왕궁에 이르러 이르되 내 아내가 이스라엘 왕 다윗의 왕궁에 살지 못하리니 이는 여호와의 궤가 이른 곳은 다 거룩함이니라 하였더라
    12   솔로몬이 낭실 앞에 쌓은 여호와의 제단 위에 여호와께 번제를 드리되


    13   모세의 명령을 따라 매일의 일과대로 안식일과 초하루와 정한 절기 곧 일년의 세 절기 무교절과 칠칠절과 초막절에 드렸더라
    14   솔로몬이 또 그의 아버지 다윗의 규례를 따라 제사장들의 반열을 정하여 섬기게 하고 레위 사람들에게도 그 직분을 맡겨 매일의 일과대로 찬송하며 제사장들 앞에서 수종들게 하며 또 문지기들에게 그 반열을 따라 각 문을 지키게 하였으니 이는 하나님의 사람 다윗이 전에 이렇게 명령하였음이라
    15   제사장들과 레위 사람들이 국고 일에든지 무슨 일에든지 왕이 명령한 바를 전혀 어기지 아니하였더라


    16   솔로몬이 여호와의 전의 기초를 쌓던 날부터 준공하기까지 모든 것을 완비하였으므로 여호와의 전 공사가 결점 없이 끝나니라
    17   그 때에 솔로몬이 에돔 땅의 바닷가 에시온게벨과 엘롯에 이르렀더니
    18   후람이 그의 신복들에게 부탁하여 배와 바닷길을 아는 종들을 보내매 그들이 솔로몬의 종들과 함께 오빌에 이르러 거기서 금 사백오십 달란트를 얻어 솔로몬 왕에게로 가져왔더라


    역대하 8장 요약 – 솔로몬의 경영과 신앙의 질서

    성전과 궁궐 공사를 마친 지 20년, 솔로몬은 나라 전역에서 건축과 군사 전략을 재정비하며 왕국의 기틀을 확고히 세워갔다. 후람이 솔로몬에게 돌려준 성읍들을 다시 건축해 이스라엘 자손을 정착시키고, 하맛소바를 쳐서 점령했으며, 광야 지역 다드몰과 하맛 지역의 국고성들도 세웠다. 또한 윗 벧호론과 아랫 벧호론을 성벽과 문, 문빗장이 있는 견고한 성읍으로 만들었고, 바알랏과 병거 성들, 마병의 성들과 같은 군사 요충지들도 재건하였다.

     

    예루살렘, 레바논을 비롯해 통치 전역에 걸쳐 자신이 원하던 건축 사업을 완료한 솔로몬은, 단지 화려한 건축물이 아니라 국가 운영의 기반을 다졌다. 이 과정에서 이방 족속의 후손들—헷 족속, 아모리 족속, 브리스 족속, 히위 족속, 여부스 족속—곧 이스라엘이 완전히 멸하지 못했던 자들의 자손들을 역군으로 삼았고, 이스라엘 백성은 오히려 군대와 병거의 지휘를 맡는 등 자유민으로서의 지위를 누렸다. 이는 이스라엘 공동체의 정체성을 지키려는 솔로몬의 신앙적 분별이기도 했다.

     

    솔로몬이 고용한 감독관은 250명으로, 이들이 백성 위에 세워져 공사의 질서를 유지하였다. 또 바로의 딸을 다윗 성에서 자신이 따로 지은 궁으로 옮기며, 여호와의 궤가 있는 곳은 거룩하므로 이방 왕가의 딸이 머물 수 없다는 그의 선언은 성전에 대한 분명한 경외심을 드러낸다.

     

    제사의 질서도 다윗의 유산을 따라 정비되었다. 솔로몬은 성전 낭실 앞 제단에서 매일의 번제를 드렸고, 안식일과 초하루, 무교절·칠칠절·초막절 등 정한 절기마다 제사를 드렸다. 제사장과 레위인들의 반열을 따라, 찬양과 제사, 문지기 직분이 정돈되었으며, 다윗의 규례는 그대로 계승되었다. 하나님의 집은 단지 건축물이 아닌, 살아 있는 예배의 중심으로서, 일상의 질서가 유지하도록 세워진 것이었다.

     

    솔로몬은 성전을 비롯하여 나라의 곳곳에 필요한 도시와 성을 건축하는 모든 일을 완수하였다. 그리고 경제적 외교에서도 확장을 이루었는데, 에돔 땅 바닷가인 에시온게벨과 엘롯으로 내려가 항구 도시를 확보하고, 후람의 신복들과 함께 오빌로부터 금 450달란트를 들여오는 대외 무역을 성사시켰다. 이는 지혜와 신앙, 행정과 무역의 균형을 통해 이스라엘 왕국이 절정의 번영을 누리게 되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업적의 중심에는 여전히 ‘여호와의 전’이 자리 잡고 있다. 솔로몬의 삶과 나라의 중심은 성전이었다. 세속적인 확장과 성공이 아닌, 하나님의 임재 앞에 세워진 질서, 예배, 구별됨이 그의 왕국을 복된 뿌리 위에 세운 것이다.

    (송병민목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