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1. 아브라함 언약 (창세기 12장, 15장, 17장)

    (1) 본문 핵심

    • 창 12:1-3: “너는 너의 고향과 친척과 아버지의 집을 떠나 내가 네게 보여 줄 땅으로 가라… 내가 너로 큰 민족을 이루고 네게 복을 주어 네 이름을 창대하게 하리니 너는 복이 될지라.”
    • 창 15:5-6: 하나님께서 하늘의 별을 보게 하시며 “네 자손이 이와 같으리라” 약속하시자 아브라함이 믿으니 여호와께서 그의 믿음을 의로 여기셨음.
    • 창 17:7-8: 하나님이 아브라함과 그 후손 사이에 “영원한 언약”을 세우심. 땅(가나안)과 후손, 그리고 “나는 그들의 하나님이 되리라”는 약속.

    (2) 원어 분석

    • 브라카(בְּרָכָה, berakhah): “복, 축복” – 단순한 물질적 축복만이 아니라 하나님의 은총과 언약적 축복을 의미.
    • 제라(זֶרַע, zera‘): “씨, 자손” – 단수와 복수 모두 가능한 단어. 신약(갈 3:16)에서는 단수 ‘그리스도’를 가리키는 의미로 해석.
    • 베리트(בְּרִית, berit): “언약, 계약” – 단순한 합의가 아니라, 하나님이 주권적으로 맺으시는 은혜 언약.

    2. 이삭에게 주신 언약 (창세기 26장)

    (1) 본문 핵심

    • 창 26:3-4: “이 땅에 거류하면 내가 너와 함께 있어 네게 복을 주고… 네 자손을 하늘의 별과 같이 번성하게 하며… 네 씨로 말미암아 천하 만민이 복을 받으리라.”
    • 아브라함에게 주신 언약을 동일하게 이삭에게 갱신.

    (2) 원어 분석

    • 하야(הָיָה, hayah): “함께 있다, 동행하다” – 하나님의 임재와 보호를 의미.
    • 콜-고이(כּל־גוֹי, kol goy): “모든 민족” – 특정 민족만이 아니라 열방 전체를 향한 보편적 구속사의 방향을 보여줌.

    3. 야곱에게 주신 언약 (창세기 28장, 35장)

    (1) 본문 핵심

    • 창 28:13-15 (벧엘 환상): “나는 네 조부 아브라함의 하나님이요 이삭의 하나님이라… 네 자손이 땅의 티끌같이 되어… 너와 네 자손으로 말미암아 땅의 모든 족속이 복을 받으리라.”
    • 창 35:11-12: “생육하고 번성하라. 한 나라와 여러 민족이 네게서 나고 왕들이 네 허리에서 나오리라… 네 후손에게 땅을 주리라.”

    (2) 원어 분석

    • 파라(פָּרָה, parah): “생육하다, 번성하다” – 창세기 1장의 창조 명령과 연결됨.
    • 하갈(הָגָה, hagah): “말하다, 선언하다” – 하나님이 언약을 말씀으로 ‘확증’하시는 개념.

    4. 족장 언약의 신학적 핵심

    1. 후손(씨, זֶרַע, zera‘): 아브라함 → 이삭 → 야곱을 통해 그리스도에게 성취됨. (갈 3:16)
    2. 땅(ארץ, eretz): 가나안 땅은 구속사의 모형으로, 최종적으로는 새 하늘과 새 땅을 지향.
    3. 복(בְּרָכָה, berakhah):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 그리고 열방을 향한 복음의 확장.
    4. 하나님 임재: “내가 너와 함께하리라”는 언약은 성육신과 성령의 내주로 완성.

    정리
    창세기의 족장 언약은 “씨(후손), 땅, 복”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아브라함에게 시작하신 언약을 이삭과 야곱에게 갱신하시며, 그 언약의 중심은 결국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성취됩니다. 원어(ברית, זרע, ברכה, ארץ 등)는 모두 신약에서 구속사적으로 해석되며, 족장 언약은 단순히 한 민족의 번성 약속이 아니라, 온 세상을 구원하시려는 하나님의 은혜 언약의 기초입니다.

    (송병민목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