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본문읽기

    1   여호와여 왕이 주의 힘으로 말미암아 기뻐하며 주의 구원으로 말미암아 크게 즐거워하리이다
    2   그의 마음의 소원을 들어 주셨으며 그의 입술의 요구를 거절하지 아니하셨나이다 (셀라)
    3   주의 아름다운 복으로 그를 영접하시고 순금 관을 그의 머리에 씌우셨나이다


    4   그가 생명을 구하매 주께서 그에게 주셨으니 곧 영원한 장수로소이다
    5   주의 구원이 그의 영광을 크게 하시고 존귀와 위엄을 그에게 입히시나이다
    6   그가 영원토록 지극한 복을 받게 하시며 주 앞에서 기쁘고 즐겁게 하시나이다


    7   왕이 여호와를 의지하오니 지존하신 이의 인자함으로 흔들리지 아니하리이다
    8   왕의 손이 왕의 모든 원수들을 찾아냄이여 왕의 오른손이 왕을 미워하는 자들을 찾아내리로다
    9   왕이 노하실 때에 그들을 풀무불 같게 할 것이라 여호와께서 진노하사 그들을 삼키시리니 불이 그들을 소멸하리로다


    10   왕이 그들의 후손을 땅에서 멸함이여 그들의 자손을 사람 중에서 끊으리로다
    11   비록 그들이 왕을 해하려 하여 음모를 꾸몄으나 이루지 못하도다
    12   왕이 그들로 돌아서게 함이여 그들의 얼굴을 향하여 활시위를 당기리로다


    13   여호와여 주의 능력으로 높임을 받으소서 우리가 주의 권능을 노래하고 찬송하게 하소서


    시편 21편: 왕의 기쁨과 하나님의 능력

    (하나님의 힘으로 즐거워하는 왕, 그리고 그리스도 안에서 완성되는 영원한 승리)


    1. 본문 요약과 맥락

    시편 21편은 다윗의 왕권과 전쟁 승리를 기념하는 찬양시로 알려져 있습니다. 본문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하나님이 왕에게 주신 복(1–7절)
      • 왕이 하나님의 힘으로 인해 기뻐하고 즐거워합니다.
      • 왕의 소원과 요구가 하나님 안에서 성취됩니다.
      • 하나님은 왕에게 존귀와 영광을 주시며, 장수를 약속하십니다.
      • 왕은 여호와를 의지하기에 흔들리지 않습니다.
    2. 하나님이 원수에게 내리시는 심판(8–13절)
      • 하나님의 왕은 원수들을 찾아내어 심판합니다.
      • 하나님은 왕을 해하려는 자들의 음모를 꺾으십니다.
      • 결국 모든 승리와 권세는 하나님의 능력에서 나옴을 고백하며, 백성은 찬송으로 응답합니다.

    이 시편은 단순히 한 왕의 전쟁 승리를 노래하는 노래가 아니라, 하나님이 기름 부으신 자, 즉 메시아를 통해 이루실 영원한 구원과 심판을 바라보게 하는 예언적 시편입니다.


    2. 개혁주의 복음주의적 주해

    (1) 왕의 기쁨은 하나님의 힘에서 나온다 (1절)

    다윗은 “여호와여, 왕이 주의 힘으로 말미암아 기뻐하며, 주의 구원으로 말미암아 크게 즐거워하리이다”라고 노래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왕의 기쁨의 근원입니다. 왕이 기뻐하는 이유는 전쟁에서 승리했기 때문이 아니라, 그 승리를 주신 분이 하나님이시기 때문입니다. 다윗은 힘과 구원의 원천이 자신에게 있지 않고 하나님께 있음을 분명히 합니다.

    개혁주의 신앙에서 강조하는 핵심은 바로 이것입니다. 인간의 공로나 능력이 아니라, 전적으로 하나님의 은혜와 주권적인 섭리가 우리의 삶을 이끌어간다는 사실입니다. 성도의 기쁨은 자신의 성취에서 오지 않고, 하나님께서 이미 행하신 구원 사역에서 옵니다.


    (2) 왕의 소원과 기도의 응답 (2–4절)

    다윗은 하나님께 소원을 구했고, 하나님은 그것을 이루어주셨습니다. 왕의 기도는 단순한 욕망이 아니라, 하나님의 뜻에 부합하는 소원입니다.

    “그가 생명을 구하매 주께서 그에게 주셨으니 곧 영원한 장수로소이다”(4절).

    다윗은 실제로 긴 생명을 살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이 말씀은 단순히 육체적 장수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윗 언약(삼하 7장)의 성취, 즉 다윗의 후손을 통해 영원한 왕국을 세우시겠다는 약속과 연결됩니다. 신약에서 이 약속은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과 영원한 통치로 완성됩니다(눅 1:32–33).


    (3) 하나님이 주시는 존귀와 위엄 (5–6절)

    왕의 영광은 스스로 얻은 것이 아닙니다. 모든 영광과 존귀와 위엄은 하나님이 주시는 선물입니다.

    오늘날 우리도 마찬가지입니다. 세상은 자기 영광을 추구하지만, 성도의 영광은 하나님께서 주시는 의와 구원에서 옵니다.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자녀가 되었고, 이것이야말로 세상 어떤 영광보다 크고 영원한 영광입니다.


    (4) 왕의 흔들리지 않는 확신 (7절)

    “왕이 여호와를 의지하오니 지존하신 이의 인자함으로 흔들리지 아니하리이다.”

    여기서 다윗은 자신의 안정과 미래의 보장은 여호와의 인자하심(헤세드, covenant love, 언약적 사랑)에 있다고 고백합니다.

    이것이 바로 개혁주의 신앙의 핵심인 하나님의 언약적 신실하심입니다. 우리의 구원이 흔들리지 않는 이유는 우리의 믿음이 강해서가 아니라, 하나님이 언약에 신실하시기 때문입니다.


    (5) 원수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 (8–12절)

    시편 21편 후반부는 하나님의 공의로운 심판을 강조합니다. 원수들이 아무리 음모를 꾸며도 하나님의 계획을 무너뜨릴 수 없습니다.

    다윗은 이것을 “풀무불”과 같은 심판의 이미지로 묘사합니다. 이것은 단순히 전쟁에서의 승리를 넘어, 최종적이고 영원한 하나님의 심판을 예언적으로 보여줍니다. 신약에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과 마지막 심판으로 성취될 사건입니다(계 20장).


    (6) 찬송으로 마무리 (13절)

    “여호와여 주의 능력으로 높임을 받으소서 우리가 주의 권능을 노래하고 찬송하게 하소서.”

    시편 21편은 공동체의 찬송으로 끝납니다. 모든 승리와 구원은 하나님의 능력에서 비롯되며, 백성은 그 은혜에 감사하며 찬송합니다.


    3. 송병민 묵상

    (1) 우리의 기쁨의 근원은 어디에 있는가?

    “당신이 진정으로 기뻐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우리는 보통 환경이 좋아지거나 성취가 있을 때 기뻐합니다. 하지만 다윗은 환경이 아니라 하나님의 힘과 구원 때문에 기뻐했습니다.

    우리의 진정한 기쁨은 십자가와 부활로 이미 주어진 구원과 그 구원을 이루어가시는 주님에게 있습니다. 상황이 어렵고 원수가 여전히 존재할지라도, 하나님께서 이미 우리를 그리스도 안에서 의롭다 하셨다는 약속의 말씀과 그 말씀을 신실하게 이루시는 주님의 미쁘심이 성도의 기쁨의 근거입니다.


    (2) 병거와 말이 아니라 하나님의 이름을 의지하라

    시편 20편과 연결되는 메시지입니다. 세상은 힘과 권력을 의지하지만, 성도는 하나님을 의지합니다. 오늘날 병거와 말은 돈, 권력, 명예, 관계 등으로 바꿔 말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들은 모두 흔들립니다.

    우리가 흔들리지 않는 이유는, “지존하신 이의 인자하심”에 뿌리를 두고 있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은 언약을 지키시는 분이십니다.


    (3) 원수와의 싸움은 하나님의 싸움이다

    우리가 살아가며 부딪히는 원수는 단순히 사람만이 아닙니다. 사탄과 죄와 죽음이라는 더 큰 원수가 있습니다. 다윗은 하나님이 원수들을 심판하신다고 선포했습니다. 이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에서 이미 성취된 사건입니다. 그리스도는 죄와 사망과 사탄을 이기셨습니다(골 2:15).

    그러므로 성도의 삶은 패배의 길이 아니라, 이미 보장된 승리를 누리는 삶입니다.


    (4) 찬송으로 마무리되는 삶

    시편 21편의 마지막은 찬송으로 끝납니다. 이것은 신자의 삶 전체를 요약하는 그림입니다. 인생의 끝에 남는 것은 나의 업적이나 성공이 아니라, 하나님의 능력과 은혜를 찬송하는 고백입니다.


    4.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주는 교훈

    1. 기쁨의 근거를 다시 점검하라
      • 상황이 아니라, 하나님 안에서 이미 주어진 구원이 우리의 기쁨이어야 합니다.
    2. 흔들리지 않는 언약의 사랑을 붙들라
      • 우리의 구원은 우리의 믿음의 강도에 달려 있지 않습니다. 하나님의 언약적 신실하심에 달려 있습니다.
    3. 세상의 힘이 아닌 하나님의 능력을 의지하라
      • 병거와 말을 의지하는 대신, 여호와의 이름을 자랑하는 삶을 선택해야 합니다.
    4. 승리와 심판은 하나님의 손에 있다
      • 억울함과 원수의 공격 앞에서 우리가 해야 할 일은 하나님께 맡기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반드시 의인을 높이고 악인을 심판하십니다.
    5. 삶의 마지막은 찬송이다
      • 성도의 궁극적인 부르심은 하나님을 영원히 찬송하는 것입니다.

    5. 결론

    시편 21편은 다윗의 왕권과 전쟁 승리를 노래하는 듯 보이지만, 그 깊은 의미는 그리스도 안에서 완성될 하나님의 구원과 승리를 가리킵니다. 다윗의 소원은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 안에서 성취되었고, 다윗의 영광은 그리스도의 영원한 왕권으로 이어졌습니다.

    그러므로 오늘 우리는 이 시편을 읽으며 단순한 역사적 사건을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이미 보장된 승리와 영원한 기쁨을 누리는 삶으로 부름 받았음을 깨닫습니다.


    ✍️ 결론적으로, 시편 21편은 우리에게 이렇게 말합니다.
    “너의 기쁨은 세상의 성공이 아니라, 하나님이 이미 너를 구원하셨다는 사실에서 찾아라. 원수와의 싸움은 네 힘이 아니라 하나님의 능력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마지막에 너의 삶은 찬송으로 끝나게 될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