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본문읽기

    1   여호와여 내가 주께 부르짖으오니 나의 반석이여 내게 귀를 막지 마소서 주께서 내게 잠잠하시면 내가 무덤에 내려가는 자와 같을까 하나이다
    2   내가 주의 지성소를 향하여 나의 손을 들고 주께 부르짖을 때에 나의 간구하는 소리를 들으소서
    3   악인과 악을 행하는 자들과 함께 나를 끌어내지 마옵소서 그들은 그 이웃에게 화평을 말하나 그들의 마음에는 악독이 있나이다


    4   그들이 하는 일과 그들의 행위가 악한 대로 갚으시며 그들의 손이 지은 대로 그들에게 갚아 그 마땅히 받을 것으로 그들에게 갚으소서
    5   그들은 여호와께서 행하신 일과 손으로 지으신 것을 생각하지 아니하므로 여호와께서 그들을 파괴하고 건설하지 아니하시리로다
    6   여호와를 찬송함이여 내 간구하는 소리를 들으심이로다


    7   여호와는 나의 힘과 나의 방패이시니 내 마음이 그를 의지하여 도움을 얻었도다 그러므로 내 마음이 크게 기뻐하며 내 노래로 그를 찬송하리로다
    8   여호와는 그들의 힘이시요 그의 기름 부음 받은 자의 구원의 요새이시로다
    9   주의 백성을 구원하시며 주의 산업에 복을 주시고 또 그들의 목자가 되시어 영원토록 그들을 인도하소서


    시편 28편: 반석이신 하나님께 부르짖는 영혼


    1. 본문 요약

    시편 28편은 다윗이 원수들의 위협과 내면의 절망 속에서 하나님께 간절히 부르짖는 기도입니다. 그는 하나님이 응답하지 않으시면 무덤에 내려가는 자와 같을 것이라 고백합니다. 그러나 기도 끝에 응답을 확신하고, 하나님을 찬송하며, 기름 부음 받은 자와 백성 전체를 위한 중보로 나아갑니다.

    • 1–2절: 다윗은 하나님을 반석이라 부르며, 자신의 기도에 응답해 달라고 호소합니다. 응답하지 않으시면 죽음과 같은 자리에 있을 것이라 고백합니다.
    • 3–5절: 그는 악인과 함께 끌려가지 않기를 간구하며, 악인들이 하나님의 행하신 일을 무시함을 지적합니다. 하나님은 그들을 파괴하시되 다시 세우지 않으실 것입니다.
    • 6–7절: 다윗은 하나님께서 기도를 들으셨음을 확신하고, 하나님을 힘과 방패로 고백합니다. 그로 인해 기쁨과 찬송이 터져 나옵니다.
    • 8–9절: 마지막은 공동체를 위한 중보 기도로 마무리됩니다. 하나님께서 기름 부음 받은 자와 백성의 목자가 되어 영원히 인도하시기를 기도합니다.

    2. 본문 주해

    (1) 하나님이 응답하지 않으시면 (1–2절)

    다윗은 하나님이 침묵하신다면 자신이 무덤으로 내려가는 자와 같을 것이라고 고백합니다. 이는 신앙인의 생명이 하나님의 응답에 달려 있음을 보여줍니다. 개혁주의 신학은 이를 하나님과의 교제가 생명 자체라는 사실로 해석합니다. 기도의 응답 여부가 단순히 현실적 문제 해결을 넘어, 하나님과의 관계 그 자체가 삶의 의미임을 보여줍니다.


    (2) 악인들과의 구별 (3–5절)

    다윗은 자신이 악인들과 함께 끌려가지 않기를 간구합니다. 악인들은 입술로는 화평을 말하지만, 마음에는 악독이 가득합니다. 그들의 삶은 하나님의 행하신 일을 무시하는 삶입니다. 개혁주의적 관점에서 이는 언약적 불순종의 모습입니다. 하나님을 기억하지 않고, 그분의 행하심을 무시하는 삶은 결국 파괴로 이어집니다.


    (3) 응답을 확신하는 믿음 (6–7절)

    기도의 전환점은 6절입니다. “여호와를 찬송함이여 내 간구하는 소리를 들으심이로다.” 아직 현실은 변하지 않았지만, 다윗은 믿음으로 응답을 확신합니다. 이는 개혁주의 신학에서 강조하는 믿음의 확실성입니다. 구원과 응답은 우리의 감정이 아니라, 하나님의 신실하심에 기초합니다.

    그는 여호와를 “힘과 방패”로 고백합니다. 힘은 내적 능력의 근원이요, 방패는 외적 위협으로부터의 보호입니다. 하나님은 신자의 삶을 내적으로 강하게 하시고 외적으로 지켜 주시는 분이십니다.


    (4) 공동체를 위한 기도 (8–9절)

    마지막은 공동체적 기도로 확장됩니다. 하나님은 기름 부음 받은 왕을 구원하실 뿐 아니라, 백성 전체의 목자가 되십니다. 다윗은 자기만의 안전이 아니라, 언약 공동체 전체의 구원과 인도를 구합니다.

    이는 신약의 교회론과 맞닿습니다. 신자는 홀로 부르심 받은 존재가 아니라, 교회라는 공동체 안에서 구원의 은혜를 함께 누립니다. 하나님은 각 개인의 하나님이실 뿐 아니라, 공동체의 목자이십니다.


    3. 송병민 묵상

    시편 28편은 마치 깊은 동굴에서 메아리처럼 울려 나오는 기도와 같습니다.

    “여호와여, 나의 반석이여, 내게 귀를 막지 마소서.”
    이 한 마디는 절망 속에서 마지막으로 내뱉는 숨 같은 기도입니다. 응답이 없으면 그는 무덤으로 내려갈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절망의 끝에서 다윗은 신뢰를 붙듭니다.
    “여호와는 나의 힘과 나의 방패이시니 내 마음이 그를 의지하여 도움을 얻었도다.”
    기도는 곧 찬송으로 바뀌고, 두려움은 기쁨으로 바뀝니다. 기도의 응답은 아직 보이지 않지만, 응답하시는 하나님을 미리 바라보는 믿음이 다윗의 가슴을 가득 채웁니다.

    마지막에 다윗은 자기만을 위해 기도하지 않습니다.
    “주의 백성을 구원하시며 주의 산업에 복을 주시고, 또 그들의 목자가 되시어 영원토록 인도하소서.”
    그의 기도는 결국 공동체를 향합니다. 참된 신앙의 기도는 언제나 “나”에서 “우리”로 확장됩니다.


    4. 오늘 우리에게 주는 교훈

    1. 하나님의 응답이 곧 생명이다
      • 신앙의 핵심은 문제 해결이 아니라, 하나님과의 교제가 끊어지지 않는 데 있습니다.
    2. 악인들과 구별된 삶
      • 겉으로 화평을 말하면서 속에는 악독을 품는 위선적 삶을 경계해야 합니다.
    3. 믿음의 확신
      • 현실이 변하지 않아도, 하나님이 기도를 들으신다는 확신 속에서 찬송이 흘러나와야 합니다.
    4. 하나님의 전인적 보호
      • 하나님은 힘이 되어 우리 내면을 강하게 하시며, 방패가 되어 외적 위협으로부터 지켜 주십니다.
    5. 공동체적 신앙
      • 참된 기도는 공동체를 품습니다. 하나님은 나의 하나님일 뿐 아니라, 교회의 목자이십니다.

    5. 결론

    시편 28편은 절망에서 시작해 찬송과 공동체적 확신으로 끝나는 노래입니다. 다윗은 하나님의 응답 없이는 무덤으로 내려가는 자와 같다고 고백했지만, 결국 하나님이 응답하신다는 확신 속에 찬송으로 나아갑니다.

    오늘 우리의 기도도 이와 같아야 합니다.

    • 외로운 자리에서 하나님께 간절히 부르짖고,
    • 악인들과의 삶을 구별하며,
    • 아직 응답을 보지 못해도 믿음으로 찬송하며,
    • 마지막에는 교회와 공동체 전체를 품는 기도로 나아가야 합니다.

    우리의 기도 끝에도 이 고백이 울려 퍼져야 합니다.
    “여호와는 나의 힘과 나의 방패시니, 내 마음이 크게 기뻐하며 내 노래로 그를 찬송하리로다.”

    반응형